그림 못 그려도 OK! 생성형 AI로 수익 내는 방법 공개

생성형 AI 이미지 생성 가이드: 스테이블 디퓨전, 플럭스, 미드저니, 달리 3 비교 분석

최근 생성형 AI 기술이 발전하면서 누구나 손쉽게 창의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다양한 도구들이 존재하다 보니 초보자들에게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생성형 AI 이미지 도구인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 플럭스(FLUX), 미드저니(Midjourney), 달리 3(DALL·E 3)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고, 

ComfyUI와 WebUI의 차이점, 그리고 유료 플랜과 무료 플랜의 차이를 설명한다.

 

코드로 만들어진 이미지의 예시

1. 대표적인 생성형 AI 이미지 도구

1) 스테이블 디퓨전 (Stable Diffusion)

  • 특징: 로컬에서 실행 가능하며, 커스터마이징이 뛰어남
  • 장점: 무료 사용 가능, 다양한 모델 선택 가능, 확장성과 자유도가 높음
  • 단점: 초기 설정이 복잡할 수 있음, 고사양 PC 필요
  • 사용 대상: 로컬에서 AI 모델을 직접 실행하고 싶은 사용자
  • 공식 사이트: https://stablediffusionweb.com/

2) 플럭스 (FLUX)

  • 특징: 최신 기술을 적용한 스테이블 디퓨전 기반의 모델
  • 장점: 향상된 품질의 이미지 생성, 세밀한 디테일 조정 가능
  • 단점: 비교적 새로운 모델이라 자료가 적음
  • 사용 대상: 스테이블 디퓨전의 발전된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
  • 공식 사이트: https://fluxmodel.ai/

3) 미드저니 (Midjourney)

  • 특징: 디스코드(Discord) 기반으로 운영되는 AI 이미지 생성 도구
  • 장점: 뛰어난 예술적 감각의 이미지 생성, 쉬운 사용법
  • 단점: 무료 플랜 없음, 디스코드 가입 필요
  • 사용 대상: 손쉽게 고퀄리티 예술 작품을 만들고 싶은 사용자
  • 공식 사이트: https://www.midjourney.com/

4) 달리 3 (DALL·E 3)

  • 특징: OpenAI에서 개발한 이미지 생성 AI로, 자연어 이해력이 뛰어남
  • 장점: 텍스트 프롬프트를 매우 정밀하게 반영, 간단한 사용법
  • 단점: 유료 사용이 필요할 수 있음
  • 사용 대상: 직관적인 프롬프트로 정밀한 이미지를 원하는 사용자
  • 공식 사이트: https://openai.com/dall-e

2. ComfyUI vs WebUI

✅ ComfyUI

  • 노드 기반 인터페이스로 복잡한 워크플로우를 구성할 수 있음
  • 스테이블 디퓨전의 다양한 기능을 커스터마이징 가능
  • 초보자에게는 진입장벽이 높을 수 있음

✅ WebUI

  • 사용자 친화적인 GUI를 제공하여 쉽게 접근 가능
  • 플러그인과 확장 기능이 많아 다양한 작업이 가능
  • 상대적으로 자유도가 낮음

3. 유료 플랜 vs 무료 플랜

  • 스테이블 디퓨전: 로컬 실행 시 무료, 클라우드 서비스는 유료
  • 플럭스: 기본적으로 무료 사용 가능
  • 미드저니: 유료 플랜만 존재 (월 구독 필요)
  • 달리 3: ChatGPT 플러스 사용자만 사용 가능

4. 어떤 생성형 AI를 선택해야 할까?

  • 자유로운 커스터마이징이 필요하다면? → 스테이블 디퓨전
  • 최신 기술을 활용한 고품질 이미지를 원한다면? → 플럭스
  • 간편하게 예술적인 이미지를 만들고 싶다면? → 미드저니
  • 정확한 텍스트 반영과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원한다면? → 달리 3

초보자라면 먼저 무료 버전이 있는 스테이블 디퓨전이나 플럭스를 테스트해보고,

이후 필요에 따라 미드저니 달리 3와 같은 유료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

각 도구마다 장점이 다르니 본인의 목적에 맞는 AI를 선택해보자!

5. 각 생성형 AI의 프롬프팅 특징과 초보자를 위한 팁

1. 스테이블 디퓨전 (Stable Diffusion)

프롬프팅 특징:

오픈소스 기반이라 사용자 맞춤 설정이 가능함.

정확한 컨트롤을 위해 ComfyUI/WebUI 사용 필수.

다양한 LoRA(스타일 적용 모델)와 ControlNet(포즈/구도 조정)을 활용할 수 있음.

초보 팁:

프롬프트는 구체적으로 작성할 것 (예: “A futuristic cyberpunk city, neon lights, ultra-detailed, 4K”).

Negative prompt(배제할 요소)도 함께 설정하면 더 깔끔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

무료로 시작하려면 Stable Diffusion Online이나 DreamStudio를 이용 가능.

 

2. FLUX (플럭스)

프롬프팅 특징:

기존 Stable Diffusion 기반이지만 미려한 일러스트에 특화됨.

컨디셔닝 조정이 핵심 (FLUX LoRA, Denoise Strength 등).

ComfyUI에서 활용 가능.

초보 팁:

기본적인 프롬프트는 Stable Diffusion과 유사하나, FLUX 모델마다 결과가 다를 수 있음.

Canny Edge, Depth Map 등 ControlNet 기능과 조합하면 디테일한 스타일 조정 가능.

FLUX는 베타 성격이 강하므로, 최신 업데이트를 확인하면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함.

 

3. 미드저니 (MidJourney)

프롬프팅 특징:

Discord에서 사용해야 하며, 텍스트 프롬프트만으로도 고퀄리티 아트를 생성.

스타일이 강한 아트워크가 특징 (극사실주의, 판타지, 애니메이션풍 등).

기본적으로 사람 얼굴, 조명 효과 등에 강점을 가짐.

초보 팁:

프롬프트 작성 시 ”–v 5.2” 등의 버전 옵션을 추가하면 원하는 스타일을 조정할 수 있음.

이미지 비율을 조정하려면 ”–ar 16:9” 같은 옵션을 사용.

스타일을 조합하려면 ”–style 4b” 같은 스타일 지정 옵션을 활용.

유료 플랜이 필요하지만, 간단한 테스트는 무료 트라이얼로 가능.

 

4. 달리 3 (DALL·E 3)

프롬프팅 특징:

OpenAI의 이미지 생성 AI로, 정확한 텍스트 기반 이미지 생성이 강점.

GPT-4와 연동되어 있어 프롬프트를 자동 보완해줌.

일반적으로 자연스럽고 현실적인 이미지 생성에 유리함.

초보 팁:

텍스트를 이미지에 넣는 기능이 강력하므로 브랜드 로고 제작 등에 활용 가능.

OpenAI의 ChatGPT Plus(유료) 사용자라면 DALL·E 3를 ChatGPT 내에서 직접 사용 가능.

원하는 스타일을 강조하려면 “in the style of a vintage poster” 같은 문구 추가.

지나치게 복잡한 프롬프트는 오히려 원하는 결과를 얻기 어렵게 할 수 있음.